-
TCP/IP 쉽게, 더 쉽게기타/내용 2022. 4. 23. 14:41
TCP/IP 쉽게, 더 쉽게 - 교보문고
명쾌한 설명과 풍부한 그림으로 배우는 | 네트워크 학습자를 위한 최적의, 최고의 입문서!컴퓨터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데이터, 장비가 어울려 ‘TCP/IP’라는 기술 위에서 상호작용하
www.kyobobook.co.kr
네트워크를 좀 더 공부해 봤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HTTP)
트렌스 포트 계층 (TCP/UDP)
인터넷 계층 (IP)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 (이더넷)
이렇게 4계층이 네트워크를 나뉠 때 사용된다.
각각 보자면 애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사용자의 행동에 의해 브라우저가 Http 메시지를 만들고
트랜스 포트 계층에서 해당 데이터 위에 TCP헤더를 씌운다.
(tcp로 설명하겠음)
Tcp 헤더에는 수신, 송신지의 포트 번호와 윈도 사이즈(데이터 전달 시 버퍼로 받을 때 필요), 컨트롤 비트(SYN, FIN...) , 체크섬(에러 검출) 등이 존재한다.
각 단계별로 각자의 헤더를 사용하며 TCP헤더를 붙이면 세그먼트라고 칭한다.
Tcp 계층에서는 가상회선을 수립하는 단계인 3 WayHandShake가 일어나고 컨트롤 비트를 이용해 연결 지향성 데이터 주고받기를 한다.
tcp는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인터넷 계층 사이에서 포트 번호를 통해 어느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를 줄지를 행한다.
IP도 헤더가 존재한다. 송,수신지의 IP 어드레스가 붙는데 이는 라우터에서 목적지를 찾을 때 사용된다.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다음 라우터를 찾을 때 MAC 주소도 이용한다. 이를 패킷 형태라고 한다.
일단 IP로 수신지의 IP를 찾아서 가고 해당 기기를 찾으면 포트 번호를 사용해 어플을 찾는 것이다.
네트워크 계층은 패킷을 전기적 신호로 바꿔서 실제 선을 통해 송수신 한다.
'기타 > 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pdf (0) 2023.01.01 밑바닥부터 만드는 컴퓨팅 시스템 (0) 2022.09.24 DDD start! (0) 2021.04.25 스프링 입문을 위한 자바 객체 지향의 원리와 이해 (0) 2021.03.28 개념을 콕콕 잡아주는 데이터베이스 (0) 2021.03.28